리치 & 리치

ETF 24편 - 다우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DIA 알아보기 본문

ETF 알아보기

ETF 24편 - 다우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DIA 알아보기

LWY9000 2021. 8. 29. 23: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앞서 했었던 나스닥 지수 추종 QQQ, S&P 500 추종 SPY에 이어 미국 3대 지수 중 하나인 다우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DI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TF 소개

운용사 블랙록 

상장일 1998년 1월 14일 

수수료 0.16%

배당 1.8%

자산규모 $30.54B

일 평균 거래량 $1.23B

보유주식 수 31개 

 

DIA의 운용사는 블랙록이며 상장일은 20년이 넘은 1998년 1월 14일입니다. 그동안 닷컴 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유럽 재정위기, 코로나 위기 등 다양한 위기를 이겨낸 이력이 있어 안정성은 검증되었다고 생각합니다. DIA의 수수료는 매우 저렴한 0.16%로 장기 투자하기 무리 없는 수준입니다. 배당은 1.8%로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보다 많습니다. 이는 다우지수가 나스닥이나 S&P 500 보다 전통적 가치주가 많은 관계로 배당은 나스닥이나 S&P 500 보다 많습니다. 자산규모는 한화로 30조 원 이상으로 매우 큰 편이며 일 평균 거래량도 한화로 1조 원 이상으로 거래를 하는 데 있어 불편함은 전혀 없을 듯합니다. DIA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31개로 다우지수 자체가 종목이 협소한 관계로 DIA도 종목이 많은 편은 아닙니다. 

 

투자 중인 국가

다우 지수 자체가 미국 기업들로 이뤄져 있다 보니 DIA도 전부 미국 기업들로 이뤄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ETF를 알아보시거나 투자하려고 하시는 분들은 미국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분들이 대부분이라 국가별 다양성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듯합니다. 

 

보유종목

DIA의 총 보유종목은 31개이며 상위 보유종목으로는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골드만삭스, 홈디포, 마이크로소프트 등 우량한 회사들이 편입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상위 10개 종목이 DIA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로 나머지 21개 종목보다 많은 수준으로 이들 종목의 주가 흐름에 따라 DIA의 수익률은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우지수 자체가 우량한 종목들로 이뤄진 그룹이어서 DIA의 보유종목도 대형주가 100%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대형주에 투자하는 만큼 펀더멘탈의 안정성과 이로 인한 투자 리스크 감소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밸류에이션

다우지수 자체가 S&P 500이나 나스닥보다 저 밸류 전통기업이 많은 관계로 밸류에이션은 이 두 지수보다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PER은 29.29배. PBR은 5.15배 수준으로 과거 대비 높아지기는 했으나 다른 지수들도 밸류가 과거 대비 상승했습니다.

 

수익률

10년 수익률 

2010년 이후 나스닥 지수는 558%, S&P 500 300%, DIA 240%로 나스닥 지수나 S&P 500 지수보다 수익률은 저조했으나 전통적인 기업들이 많은 다우지수가 이 정도 성과를 올렸다는 것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3대 지수 중 가장 저조한 수익률인 다우지수도 다른 국가들의 지수보다 훨씬 괜찮은 수익률을 올려줬습니다. 

 

1년 수익률

지난 1년 동안 수익률은 나스닥이나 S&P 500 보다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정리 

DIA는 미국 3대 지수 중 다우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ETF이며 전통적 기업이 많은 다우지수는 다른 지수 대비 오름폭이 적었지만 변동성이 다른 지수 대비 적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 방어 차원에서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수수료도 매우 저렴해서 장기투자 시 수수료 부담은 그렇게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ETF는 본인의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만들고 싶고 그와 더불어 적절한 성장과 안정된 배당 등 어느 한 부분이 특출 나지 않더라도 골구로 가져가고 싶은 분들에게 맞는 ETF라고 생각합니다. 평소 다우지수에 관심이 많던 분이나 다우지수에 투자해보고 싶은 분들은 조정과 적절한 밸류에이션 달성 시 관심 가지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Comments